본문 바로가기
사회5분전

“커피 한 잔 120원?” 진짜일까? 커피 원가의 진실과 카페 가격의 현실을 파헤쳐보자!

by 아모르파티호 2025. 5.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커피 한 잔 가격에 대해 이야기 많죠?
얼마 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커피 원가 120원” 발언이 논란이 되며 다시 한번 커피 한 잔의 가격에 대한 궁금증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커피의 ‘진짜 원가’는 얼마일까?, 그리고 **카페에서 파는 가격이 정말 너무 비싼 걸까?**를 하나씩 뜯어보려 합니다. 궁금하시죠? 😊

 

1. “커피 원가 120원”, 정말 맞을까?

이 발언은 2019년 기준으로 생두(원두 볶기 전 상태) 기준 단가에서 나온 수치로 보입니다. 당시 브라질산 생두 기준 약 1kg에 3,500원~4,000원, 에스프레소 한 잔(약 810g 기준)으로 계산하면 1잔당 100150원 정도로 환산할 수 있습니다.

👉 결론:
✅ 원두 가격만 보면, ‘120원’ 수준은 가능.
❌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원재료’ 단가일 뿐!

2. 그렇다면, 실제 커피 한 잔의 ‘원가’는?

우리가 카페에서 마시는 커피 한 잔은 단순히 원두값만으로 구성되지 않죠.
카페 운영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비용이 포함됩니다.

1. 💰 원두 + 재료비

  • 고급 원두 사용 시 더 비쌉니다.
  • 라떼나 시그니처 메뉴는 우유, 시럽, 휘핑 등 추가 재료도 들어갑니다.

☑️ 예) 스페셜티 원두 1kg = 약 46만 원 → 잔당 원두 비용 400600원

2. 🧍‍♀️ 인건비

  • 바리스타의 월급, 주휴수당, 4대 보험 등 포함
  • 아르바이트생도 시간당 9,860원 (2025년 최저임금 기준)

3. 🏠 임대료 + 관리비

  • 강남, 홍대 등 상권일수록 비쌉니다.
  • 임대료만 월 수백만 원 이상인 곳도 수두룩

4. 🧺 각종 고정비

  • 머신 리스 비용, 정수기, 냉난방비, 전기료
  • 인테리어 유지보수, 소모품 구매

5. 🧾 카드 수수료 및 세금

  • 카드 결제 수수료 약 1.5~2%
  • 부가가치세, 소득세 등

3. 실제 한 잔 원가 추정 (아메리카노 기준)

항목비용 (예상)
원두 (10g) 400원
컵 + 뚜껑 등 200원
인건비 (분당 계산) 300원
임대/기타 비용 500원
총 원가 1,400원 이상
 

👉 판매가 4,0005,000원인 커피 한 잔은, 순수 이익률이 2030% 안팎에 불과할 수도 있어요.
물론 체인점과 개인 카페는 원가 구조가 다르겠지만, “폭리” 수준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4. 그래서 지금 커피값, 비싼 걸까?

사실상 요즘 카페는 **‘공간을 파는 곳’**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무한 와이파이, 쾌적한 인테리어, 에어컨 빵빵한 실내, 콘센트… 이 모든 걸 커피 한 잔으로 이용할 수 있죠.

✔️ 4,000~5,000원은 단순 커피값이 아니라, 공간 대여료 + 서비스 이용료까지 포함된 금액이라 봐야 합니다.

5. 마무리하며…

“커피 원가는 120원이다!” 라는 말은 틀린 건 아니지만, 전체 맥락을 보지 않으면 오해의 소지가 크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우리가 마시는 커피 한 잔에는 바리스타의 노동, 공간 운영, 손님을 위한 배려가 모두 녹아 있습니다.

그리고 이재명님 또한 전체에서 일부만 떼어낸 것으로 논란을 만들었다고 말하며 인건비나 시설비를 포함되지 않았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러니 오해는 마시기를 바랍니다. 저자 또한 실제 커피가격의 측정을 단순히 한 것이지 장소와 시간 따라 달라지는 것이 가격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다음에 커피 한 잔을 들이킬 때, 단순히 **‘이게 왜 이렇게 비싸지?’**가 아닌,
“아, 이 안엔 여러 사람의 노력과 비용이 담겨 있구나” 하는 생각도 함께 떠올려보면 어떨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