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치1분전89 대책없는 정부에 의대교수들마저 인내심이 바닥나고있다. 저자는 되도록이면 중립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으며 객관적인 시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웅상병원폐업, 정부가 미쳐가고 있다 그리고 세 번째 아무 대책 없는 정부는 시간만 끌고 있고 그것을 지켜보고 있는 의대교수들의 인내심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한번 보시겠습니다. 1. 뉴스 서울대 의대교수들, 18일 사직 예고 정부 중대본 회의서 “환자 생명 위협 우려” 11일 부산대 의대 교수협의회도 기자회견 12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인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상황실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정부가 의대 증원 갈등에 대한 해법을 내놓지 않을 경우 오는 18일 전원 사직하겠다고 발표했.. 2024. 3. 12.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으로 수사를 받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호주 대사로 임명돼 출국 이 스토리는 미래를 위해 스크랩하는 거나 마찬가지라 할 수 있습니다. 언제 가는 공정과 상식으로 처리해야 될 일이기 때문입니다. 일단 뉴스를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1. 뉴스 민주 "주요 피의자, 공권력 동원 해외 도피…외교부·법무부 장관 등 고발조치" 이준석 "우리 편이면 출국금지도 무력화 시키는 행태… 공정과 상식 어디 있나"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 당직자들이 10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 해병대 수사 외압 의혹을 받고 있는 이종섭 주호주대사의 호주행 비행 편 탑승이 확인되자 이를 규탄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으로 수사를 받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호주 대사로 임명돼 출국한 데 대해 야권은 국가기관이 공권력을 동원해.. 2024. 3. 11. 정부가 미친짓을 하고있다. 정부는 지금 미친 짓을 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 시민들은 악귀가 씌웠는지 현혹되었는지 의사들을 욕하기 바쁘다. 결국은 자기들 목에 칼이 들어가고 있는 것도 모른 체 언론과 정부의 이중합주에 의사들은 이미 악마가 되어있었다. 자 첫 번째 미친 짓을 보도록 하자 1. 뉴스 지금은 상급종합병원, 3차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으려면 1차 의원급인 동네병원이나 2차 중소병원에 주는 진료 의뢰서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앞으로는 2차 병원을 반드시 거쳐야 가능해 질 걸로 보입니다. [전병왕/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 : 장기적으로는 결국은 합리적 의료 이용, 상급종합병원은 중증·응급과 관련되는 진료를 담당하고 2차에서 상급종합병원 가는 거는 의무화를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 건강보험 적용을 받.. 2024. 3. 8. 지금 민주당 탈당한사람들은 국민의힘의 첩자다 잘됐다! 이제 개혁이다! 가짜뉴스가 엄청난 돈을 벌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뭔가 허무하기도하고 가짜뉴스에 잘 속는거 같기도하고 저자는 씁쓸합니다. 그래서 저자도 가짜뉴스는 아니지만 어그로성 자극적인 글을 써보려고합니다. 제목은 정했습니다. 지금 민주당 탈당한 사람들은 국민의힘의 첩자였다! 어떤가요? 하하하하하하 1.뉴스 任측 "이번 총선에서는 한발 물러서는 것…尹정권 심판 위해 뭘 할지 고민해 보겠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사진=연합뉴스] 4·10 총선 더불어민주당 서울 중·성동갑 공천 배제(컷오프) 결정을 재고해달라던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이 4일 "당의 결정을 수용한다"고 말했다. 친문(친문재인)계인 임 전 실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임 전 실장 측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임 전 실장.. 2024. 3. 4. 정부가 사실은 이렇다네요?? 대통령실 홈페이지 뉴스룸에서 이런 글이 오늘 올라왔습니다. 일방적 결정이 아니고 소통을 해서 결정한 일이라는 글입니다. 한번 같이 보시기 바랍니다. 1. 홈페이지 사실은 이렇습니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의료계 소통 부족? 증원 규모 과다? → 의료개혁에 대한 오해와 진실 Q&A 2024.02.22 1. 의대 정원 확대, 정부의 일방적 결정? → 필수의료 혁신전략 및 정책패키지 마련을 위해 총 130회 이상 소통 정부는 대한의사협회와의 공식소통 채널을 구성하여 28차례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의료계를 비롯해 전문가, 소비자단체 등 사회 각계각층과 다양한 방식으로 130차례 이상 충분히 소통하였습니다. 의료계가 주장하는 의대 정원 확대 전제 조건인 ❶수가 인상, ❷의료사고 부담 완화, ❸근무여건 개선 .. 2024. 2. 23. 이전 1 ··· 12 13 14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