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5분전

시부사와 에이이치, 위대한 경제인이자 '복잡한 사생활의 소유자'?

by 아모르파티호 2025. 4. 11.
반응형

 

일본의 신권 지폐, 특히 **1만 엔권의 주인공으로 선정된 시부사와 에이이치(渋沢栄一)**에 대해 그런 평가가 나오는 배경에는 그의 개인사, 특히 혼외자 문제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1. 이야기

 

🔸 그는 누구인가요?

  • **"일본 자본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는 인물
  • 500개 넘는 기업 설립에 관여 (미쓰비시, 오사카 증권거래소 등)
  • 윤리 경영과 공익 사업에 앞장선 인물
  • 일본 근대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고, 교육·복지·경제 전반에 큰 족적을 남김

그래서 일본은 2024년 신권 개편에서 시부사와를 1만 엔권의 인물로 선정했죠.

그런데 왜 '바람', '민폐' 논란이 나오는 걸까요?

  • 시부사와는 생전 혼외자식이 여러 명 있었고, **정부(첩)**까지 두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 일본 내 일부 네티즌과 평론가들 사이에선 “그가 도덕적으로 결함 있는 인물을 지폐 주인공으로 삼는 것이 타당한가”라는 문제 제기가 꾸준히 있어왔습니다.
  • 특히 결혼식에서의 축의금이라는 '경사'의 상징에 시부사와의 얼굴이 박힌 지폐를 사용하면 복잡한 감정이 든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일본의 ‘축의금 예절’과 신권의 묘한 충돌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 결혼식 축의금에 새 돈을 내는 것은 ‘미리 준비된’ 느낌 때문에 민폐로 여겨질 수 있다는 문화가 있는데,
  • 여기에 도덕성 논란이 있는 인물의 얼굴이 박힌 신권까지 겹치면,

시부사와 신권으로 축의금을 내는 건 더블 민폐(?) 아닌가?”
라는 우스갯소리 또는 불편한 시각이 생길 수 있는 겁니다.

현실은?

사실 일본 정부는 시부사와의 위대한 업적에 방점을 두고 기념한 것이지만,
민감한 결혼식 자리에서는 '그의 얼굴이 민망하다'는 의견이 실제로 일부 존재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일부 젊은 층이나 보수적인 가족 문화에서는
**“구권이나 깨끗한 헌 돈으로 내자”**는 반응도 있습니다.

정리하면

  •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일본 근대화의 큰 기둥이지만,
  • 도덕적 결함과 그 이미지가 일부 일본인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시선이 분명 존재합니다.
  • 특히 예민한 자리인 결혼식에서 ‘신권’이라는 요소와 겹치며 이중적으로 '민폐'처럼 느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결론적으로

 

“지폐는 단순한 화폐 이상의 문화와 인식이 담긴 얼굴입니다.”

시부사와를 신권 주인공으로 선택한 배경엔 업적을 기리려는 국가적 의도가 있지만,
이미지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감정과 예절 문화 역시 무시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반응형